호경

5 - 1. 순차 논리 회로 소자 - S.R Latch 본문

디지털회로설계/논리 회로 설계

5 - 1. 순차 논리 회로 소자 - S.R Latch

rlaghrud1234 2021. 5. 9. 00:06

※시작에 앞서, 학업을 위해 정리해 놓은 내용들이므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차근차근 정리해 놓아 보았습니다.

오늘은 제가 공부를 하면서 조금 어려워 했던 부분인 순차 회로 (Sequential Circuit) 중의 하나인 S.R 래치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글의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순차 논리 회로에 대하여

2. S-R 래치

2-1. logic circuit, symbol

2-2. 순서를 통해 timing도와 진리표 채우기

2-3. Orcad를 통해 구현하기


1. 순차 논리 회로 (Sequential Circuit)

 

① 정의

메모리가 존재하여, 이전의 출력값을 저장할 수 있는 회로

즉, 이전의 값과 현재 입력된 값이 다음 나올 값에 영향을 끼치는 회로

② 종류 : 래치(Latches) & 플립 플롭(Flip Flop)

- 1) 래치(Latches)

ⓐ) 정의 : Clock(일정 주파수를 지니면서 입력 되는 입력 신호)을 포함하지 않는 소자

ⓑ) 종류 : Gated D - Latch, S-R Latch

② - 2) 플립 플롭(Flip Flop)

ⓐ) 정의 : Clock을 포함하는 소자

ⓑ) 종류 : 에지 트리거 D 플립플롭, S-R Flip Flop, J-K Flip Flop, T Flip Flop

대분류와, 소분류를 통해 순차 논리 회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순차 논리 회로 필기 정리>

2. S-R 래치(Latch)

- 1) logic circuit, symbol

논리회로와 symbol로 그려진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S-R Latch using logic circuit, using symbol

② - 2) 순서를 통해 timing도와 진리표 채우기

ⓐ)

현재의 값이 X(don't care)인 상태. 즉, 이전의 값이 저장이 안된 상황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t = 0에서 부터 시작이 됩니다. 즉, 이전의 값이 저장이 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설명대로, 초기의 상태는 Q = Q' = X 이었기 때문에, 0초에 S, R에 각각 0과 0을 입력해주면 부울 대수식에 의해 Q+ = Q+' = X가 출력됨을 알 수 있습니다.

ⓑ)

S, R에 0과 1을 입력할 때

ⓒ)

S, R에 1과 0을 입력할 때

ⓓ)

S, R에 1과 1을 입력할 때

그림들을 통해 확인해보면,

○ S,R에 1과 0을 입력하게 되면 Q+ = 1

○ S,R에 0과 1을 입력하게 되면 Q+ = 0

이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궁금한 점이 존재하죠? 네, 바로 S,R 입력이 각각(0, 0) 혹은 (1, 1)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번 그림에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S와 R에 각각 (0, 0)을 입력해 볼까요?

회로 내 메모리가 가지고 있는 현재 값 Q = 0, Q' = 1입니다. 이 때, 그림에서는 (1, 0)값을 입력했지만, 이번에는 (0, 0)값을 입력해 보겠습니다.

되먹임을 통해 R = 0 과 Q' = 1 값이 NOR 연산이 되어 Q+ = 0 이 출력됩니다.

마찬가지로, 되먹임을 통해 S = 0과 Q+ = 0 값이 NOR 연산이 되어 Q+' = 1이 출력됩니다.

★ 이를 통해 S와 R에 (0 , 0)이 입력되면 이전 값이 유지됨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S와 R에 각각 (1, 1)을 입력해 볼까요?

ⓓ 그림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1, 1)을 입력해 주었을 때, Q = Q' = 0 이 출력 됩니다.

또, 입력 순서가 위와 같이 않고 다를 경우에는 Q = Q' = 1이 출력이 됩니다.

★ 위에서 말씀 드렸듯이, S-R Latch는 아래와 같은 동작 규칙을 가져야 합니다.

S,R에 1과 0을 입력하게 되면 Q+ = 1

S,R에 0과 1을 입력하게 되면 Q+ = 0

하지만 (1, 1)을 입력했을 경우에는 Q+ = Q+' = 0 또는 1이 되는 상황으로, 동작 규칙에 어긋납니다.

우리는 이런 상황을 불능이라 규정하며, 회로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위의 동작 과정이 너무 길다 생각되시면 아래 진리표를 보십시오.

따라서 t = 0부터 시작되는 진리표를 그려보게 되면,

진리표 (불능은 따로 적지 않았습니다)

이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S-R에 (1, 1) 대입이 되기 전까지는

1. S , R = (0 , 0)이면 이전에 저장된 값이 유지되며 출력

2. S , R = (0, 1)이면 Q+ = 0

3. S , R = (1, 0)이면 Q+ = 1

위 과정이 반복되면서 출력이 될 것입니다.

② - 3) Orcad를 통해 구현하기

Pspice 캡쳐


여기까지가, S-R Latch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다음번에는 Gated D - Latch에 대한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Comments